
오뚜기 (007310)
468,000원
▼1,000
-0.21%
종합식품업체로 조미식품 분야에서 국내 1위
V차트
기간
년
월
-
년
월
실적 차트(연간)


또한, 최근 5년 이상 실적을 확인해봅니다. 만약, 영업이익과 순이익 그래프가 꾸준히 증가한다면 '우량기업'의 조건을 갖춘 종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반면, 매출액은 증가하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감소한다면 기업의 '수익성'이 나빠졌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 수익성을 개선할 방안이 있는지 찾아봐야 합니다. 만약 매출액이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증가하지 못하거나, 감소한다면 투자에 주의해야 합니다.
이익률 차트(연간)


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일반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. 만약 두 그래프에 차이가 발생한다면, 영업외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해 순이익이 크게 증감하는 경우입니다. 이러한 차이는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.
수익성 지표는 매출액과 함께 보면 그 회사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. 매출액이 증가하는 가운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더 많이 증가한다면, '규모의 경제'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. 만약,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지 않은 가운데 두 수익성 지표가 상승한다면, 제품 가격이 올랐거나, 원재료비가 감소한 경우입니다.
반대로 매출액이 증가함에도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하락한다면, 출혈 경쟁을 하고 있거나, 원재료비가 오른 경우입니다.
또 다른 활용법으로는 같은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을 비교하는 것입니다.
종업원수 & 1인당급여액(연간)


성장하는 기업은 점점 많아지고 다양해지는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직원을 꾸준히 고용합니다. 늘어나는 종업원 수는 회사가 성장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.
종업원 수와 더불어 1인당 급여액을 본다면 회사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성장 기업은 성장의 과실을 직원들에게 적절히 나눠줄 것이기 때문입니다. 적절한 보상은 훌륭한 직원이 회사에 남아 또 다른 성장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.
재고자산 추이(연간)


만약 시장에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일시적으로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, 이 비중은 공급대비 수요가 부족하면 늘어나기도 합니다.
경기민감업종이나 경쟁이 심한 업종은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이 크게 변할 수 있습니다. 즉, 향후 수요가 회복될 것을 대비해 재고자산을 많이 쌓아둘 수 있습니다. 이럴 경우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.
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해 기업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해볼 수 있습니다.